본문 바로가기
로보틱스

협동로봇(Collaborative Robot, Cobot)

by djhigh 2024. 11. 23.
반응형

1. 협동로봇 개요

협동로봇(Collaborative Robot, Cobot)은 인간과 안전하게 상호작용하며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로봇입니다. 전통적인 산업용 로봇과는 달리, 협동로봇은 사람과 동일한 작업 공간에서 직접적인 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작업 효율성과 유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협동로봇(Cobot)은 인간과 같은 공간에서 작업하며 물리적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로봇으로, 기존 제조업 위주에서 농업, 의료, 금융, 서비스업 등으로 활용 분야가 확장되고 있으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기술과 융합되며 점차 지능화되고 다양한 환경에서 유연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진화 중입니다. 협동로봇은 기존 산업용 로봇보다 저렴하고, 유연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부의 지원과 기술 발전에 힘입어 협동로봇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 협동로봇의 주요 구성 요소


- **센서**: 충돌 감지, 위치 감지, 토크 제어 등을 위한 센서가 필수적입니다.
- **모터 및 액추에이터**: 협동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며, 일반적으로 고정밀 저속 구동 시스템이 사용됩니다.
- **제어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통합되어 작업의 프로그래밍 및 로봇 동작을 제어합니다.
- **통신 기술**: Wi-Fi, Bluetooth, Ethernet 등 다양한 연결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합됩니다.



3. 협동로봇의 특징


1. **안전성**  
   협동로봇은 사람과의 상호작용에서 안전을 보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충돌 감지 센서, 저속 구동, 부드러운 모터 제어 기술 등이 탑재되어 있어 작업 중 사람과의 접촉 시 즉각 멈출 수 있습니다.
2. **유연성**  
   경량화된 디자인과 다양한 툴을 장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덕분에 다양한 산업 분야와 작업 환경에 쉽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
3. **사용 용이성**  
   직관적인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와 간단한 설정 과정을 통해 비전문가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부 협동로봇은 '핸드 가이딩(Hand Guiding)' 기술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로봇의 경로를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4. **경제성**  
   상대적으로 저렴한 초기 비용과 빠른 ROI(투자 수익률)를 제공하며, 기존 자동화 솔루션보다 설치와 유지보수가 간단합니다.


4. 시장 전망


- **글로벌 시장**: 2020년 약 8.36억 달러에서 2025년 50.88억 달러로 연평균 43.5% 성장 전망.
- **국내 시장**: 2020년 5,900만 달러에서 2025년 3억 6,658만 달러로 연평균 44.1% 성장 예상.
- 최대 수요 산업은 전자 및 자동차 산업이며, 물류, 의료, 스마트 리테일, 푸드테크 등 신흥 산업으로 활용 범위가 확대될 전망.


5. 정부 정책 및 투자


- 대한민국 정부는 2008년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을 통해 로봇산업 육성을 지원.
- **주요 투자 분야**:
  - 제조업: 뿌리, 섬유, 식음료 등의 표준공정모델 개발 및 실증.
  - 서비스 로봇: 돌봄, 웨어러블, 의료, 물류 등 4대 분야.
  - 핵심 기술 개발: 스마트 그리퍼, 자율주행 센서, HRI(인간-로봇 상호작용) 등.
- 예산은 2020년 1,405억 원에서 2021년 2,170억 원으로 증가.


6. 국내외 주요 기업


- **글로벌 리더**:
  - 유니버설 로봇: 시장 점유율 50%, 세계 최초 협동로봇 상용화.
  - 독일 KUKA, 스위스 ABB 등도 주요 기업.
- **국내 기업**:
  - 두산로보틱스: 최고 가반하중(25kg) 제품 개발.
  - 한화정밀기계: AI 비전 솔루션 적용.
  - 현대로보틱스: 5~15kg 가반중량 라인업.
  - 레인보우로보틱스: 주요 부품 자체 개발로 가격 경쟁력 확보.
  - 유니버설 로봇(Universal Robots)**: 협동로봇 시장의 선도 기업으로, 다양한 크기와 성능의 로봇을 제공.
  - ABB**: 산업 자동화와 협동로봇 기술을 통합한 제품을 개발.
  - 팬더(FANUC)**: 고정밀 로봇과 협업 솔루션을 공급.
  - KUKA**: 다양한 산업용 협동로봇 라인을 보유.
  - 한화 로보틱스**: 국내 기업으로, 중소기업에 적합한 협동로봇 개발.


7. 활용 분야와 전망


- **현재 주요 활용**: 머티리얼 핸들링, 픽 앤 플레이스, 조립 작업.
- **확장 가능성**:
  - 맞춤형 자동화: 비정형 공정, 푸드테크(제빵, 바리스타 등).
  - 의료, 물류, 스마트 리테일 등으로 진입 확대.
- AI 및 5G 통신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고도화 및 신산업 창출 기대.
1. **제조업**  
   - 조립, 포장, 검사, 픽 앤 플레이스(Pick-and-Place) 작업에 사용됩니다.
   - 중소기업에서도 협동로봇을 활용해 자동화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2. **의료**  
   - 수술 도구 보조, 재활 치료, 실험실 자동화 등에서 활용됩니다.
3. **물류**  
   - 창고 내 물품 분류, 운반, 적재 등 물류 자동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서비스 산업**  
   - 음식 조리, 서빙, 고객 응대 등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5. **연구 및 교육**  
   - 연구소와 교육기관에서 프로그래밍 및 로봇 개발 실험용으로도 활용됩니다.

8. 협동로봇과 산업용 로봇의 차이점



| 특성              | 협동로봇(Cobot)                         | 산업용 로봇                                |
|-------------------|----------------------------------------|------------------------------------------|
| **안전성**         | 사람과의 협업을 위해 설계               | 별도의 안전 울타리가 필요                 |
| **유연성**         | 다양한 작업에 신속히 적응 가능          | 특정 작업에 최적화                        |
| **사용 난이도**     | 프로그래밍이 쉬워 비전문가도 사용 가능  | 고급 프로그래밍 및 설정 필요               |
| **설치 비용**      | 비교적 저렴                              |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높음               |
| **작업 환경**      | 사람과 협력 가능                        | 주로 사람과 격리된 환경에서 작동            |


9. 협동로봇의 장점과 한계


 장점:
- 안전하고 직관적인 사용 가능성
-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 증가
- 작은 공간에서도 활용 가능
- 초기 투자 비용 대비 빠른 ROI
 한계:
- 기존 산업용 로봇에 비해 작업 속도와 힘이 제한적
- 복잡한 작업에서는 성능이 떨어질 수 있음
- 지속적인 유지보수와 업그레이드 필요


10. 협동로봇의 미래 전망

협동로봇은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 의료 등 다양한 산업에서 빠르게 채택되고 있습니다. 특히, AI와 머신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협동로봇은 점점 더 똑똑해지고, 자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 또한, 인간-로봇 협업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더 많은 산업이 협동로봇을 채택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로보틱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동로봇(Univesal-Robots)  (0) 2024.11.25
이게 된다고? SpaceX 메카질라(Mechazilla)  (0) 2024.11.24
4족 보행 로봇(Quadrupped robot)  (1) 2024.11.23
휴머노이드(Humanoid) 로봇  (1) 2024.11.23
로보틱스 기술 개요  (2) 2024.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