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로보틱스

이게 된다고? SpaceX 메카질라(Mechazilla)

by djhigh 2024. 11. 24.
반응형

스페이스X 메카질라(Mechazilla)란?

메카질라(Mechazilla)는 스페이스X가 개발한 첨단 로켓 회수 및 재사용 기술로, 로켓 발사대에 설치된 거대한 로봇 팔 구조를 활용하여 로켓을 공중에서 직접 잡아 재사용하는 기술입니다. 처음 영상을보고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진보된 기술의 결과물인데요, 기존 로켓 회수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인 기술로, 발사 비용 절감, 효율성 증가, 발사 빈도 향상 등 우주 탐사 산업에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됩니다. 메카질라는 특히 스페이스X의 차세대 우주선 시스템인 스타쉽(Starship)과 슈퍼헤비(Super Heavy)의 회수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아래 1분짜리 영상을 보면 "Absolutely insane!!" 이라는 청중의 감탄을 공감하실 수 있을 겁니다. 

 

https://youtu.be/Mh_0AQhK7sg?si=Q_uf45LKP97LiLwv

 


기존 로켓 회수 방식과의 차이점

스페이스X는 기존에도 로켓의 1단계를 재사용하기 위해 드론 선박(자율 운항 선박)을 사용하여 바다 위에 착륙시키는 방식을 활용해 왔습니다. 이 방식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1. 운영 비용 증가: 드론 선박을 운용하는 데 드는 높은 비용과 유지 보수 비용이 문제였습니다.
  2. 회수 시간 지연: 로켓을 회수한 뒤 다시 발사대까지 운반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3. 착륙 정밀도 한계: 바다 위에서의 착륙은 기상 조건에 영향을 크게 받으며, 이는 회수 성공률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메카질라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로켓을 발사대에 직접 착륙시키거나 공중에서 회수함으로써 회수와 발사 준비 과정의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메카질라의 설계와 구조

메카질라는 발사대에 설치된 두 개의 거대한 로봇 팔로 구성됩니다. 이 로봇 팔은 로켓을 공중에서 잡고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발사대에 거치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요 설계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로봇 팔

  • 길이와 강도: 로켓의 크기와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초대형 로봇 팔입니다.
  • 회전 및 이동 기능: 로켓의 하강 궤적에 맞추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고도로 정교한 회전 및 이동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충격 흡수 설계: 로켓과 접촉 시 발생할 수 있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로켓의 구조적 손상을 방지합니다.

2. 센서와 제어 시스템

  • 실시간 추적: 고급 센서와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로켓의 위치와 속도를 실시간으로 추적합니다.
  • 정밀 제어: 로켓의 이동 궤적에 따라 로봇 팔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합니다.
  • 비상 상황 대응: 로켓의 착륙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긴급 대응 시나리오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3. 발사대와의 통합

  • 메카질라는 발사대와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로켓 회수뿐만 아니라 재발사를 위한 준비 과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로켓을 회수한 후 즉시 연료를 재충전하고 다음 임무를 준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메카질라의 작동 원리

메카질라는 로켓이 발사 후 임무를 완료하고 지구로 귀환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처리합니다:

  1. 귀환 준비: 로켓이 대기권에 재진입하며 속도를 감소시키고, 착륙 지점으로 향합니다.
  2. 공중 포획: 로켓이 발사대 근처로 접근하면 메카질라의 로봇 팔이 작동하여 공중에서 로켓을 잡습니다. 이 과정은 로켓의 위치, 속도, 각도 등을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이루어집니다.
  3. 안정화 및 거치: 로켓을 안정적으로 잡은 뒤 발사대에 고정합니다. 이후 로켓은 다음 발사를 위한 점검 및 연료 보급 과정을 시작합니다.

기술적 도전과 해결 방안

메카질라는 전례 없는 혁신 기술로, 개발 과정에서 다양한 기술적 도전 과제를 마주했습니다. 주요 도전과 해결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밀도 문제: 로켓이 고속으로 하강하는 동안 메카질라가 정확히 위치를 맞춰야 합니다.
    • 해결: 고속 처리 가능한 AI 알고리즘과 정밀 센서를 도입하여 위치 추적과 궤적 계산의 정확성을 높였습니다.
  2. 충격 흡수: 로켓 포획 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로켓이나 로봇 팔에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해결: 로봇 팔에 충격 흡수 소재와 메커니즘을 적용하였으며, 충격 분산 기술을 도입하였습니다.
  3. 기상 조건: 바람, 비, 기타 기상 조건이 로켓 회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해결: 다양한 기상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비상 대처 프로토콜을 마련했습니다.

메카질라의 장점

메카질라는 기존 회수 방식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합니다:

  1. 비용 절감
    • 드론 선박을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운영 비용이 크게 절감됩니다.
    • 로켓을 재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추가 비용을 줄입니다.
  2. 시간 단축
    • 로켓을 발사대에서 바로 회수하고 재사용 준비를 할 수 있어 발사 준비 시간이 대폭 단축됩니다.
  3. 발사 빈도 증가
    • 빠르고 간소화된 회수 및 재사용 과정은 발사 빈도를 증가시켜 스페이스X의 우주 탐사 목표를 가속화합니다.

스페이스X의 비전과 메카질라의 역할

스페이스X는 화성 이주를 포함한 우주 산업의 상업화와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메카질라는 이러한 비전을 실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기술입니다. 특히 스타쉽과 슈퍼헤비의 대규모 재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우주 탐사 비용을 혁신적으로 절감하고, 민간 우주여행과 대규모 화물 운송을 실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TMI) 왜 메카질라라고 부르는가?

"메카질라(Mechazilla)"는 스페이스X가 개발한 로켓 회수 시스템의 별칭으로, 이 이름은 일본의 유명 괴수 캐릭터 **메카고질라(Mechagodzilla)**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 "메카(Mecha)": 기계적인 장치나 로봇
  • "질라(Zilla)": 강력하고 거대한 존재를 상징하는 "고질라(Godzilla)"에서 따온 것으로, 거대 로봇이나 기계를 의미

메카질라는 스페이스X의 차세대 로켓 회수 기술을 구현하는 거대한 로봇 팔 시스템으로, 시각적으로도 크고 강력한 기계의 이미지를 가집니다.
스페이스X의 CEO인 **일론 머스크(Elon Musk)**가 이 회수 시스템을 소개할 때, 일본의 "메카고질라"와 비슷하다는 농담 섞인 언급을 하며 "메카질라"라는 이름이 비공식적으로 붙었습니다. 이후 이 명칭이 대중적으로 사용되며, 메카질라라는 이름이 시스템의 상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고 하네요!!

반응형

'로보틱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tlas(Boston Dynamics)  (2) 2024.11.25
협동로봇(Univesal-Robots)  (0) 2024.11.25
4족 보행 로봇(Quadrupped robot)  (1) 2024.11.23
휴머노이드(Humanoid) 로봇  (1) 2024.11.23
협동로봇(Collaborative Robot, Cobot)  (1) 2024.11.23